생성형 AI를 활용한 교육과정 설계, 조직에서 활용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구독자님! 패스트캠퍼스 기업교육팀입니다. 며칠 전 메타가 3,600명을 해고하고 그 자리를 '가장 강력한 인재'로 채우겠다고 발표한 소식을 들으셨나요? 이는 단순한 구조조정이 아닌 AI 인재 확보에 대한 의지로 해석할 수 있는데요. 딥시크의 등장에 이어 메타의 대규모 구조조정 소식까지, 올해도 AI에 대한 관심은 식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2월의 비즈레터도 AI에 대한 2가지 소식 전해드립니다. |
|
|
📌 2월의 비즈레터 30초 요약
① 이 자료 하나면 AI는 유능한 교육 담당자가 됩니다.
② 인텔이 될 것이냐, 엔비디아가 될 것이냐, OO에 달렸습니다. ③ 레터 이름 공모전에 참여하고 네이버페이 포인트 받아가세요! |
|
|
① AI를 교육과정 설계에 활용할 수 있다 VS 없다 |
|
|
1월호에서 소개해드린 가트너, 포브스가 꼽은 2025년의 HR/HRD 트렌드에는 공통적으로 HR 팀에서의 생성형 AI 활용이 포함되었는데요. 구독자님은 생성형 AI를 얼마나 활용하고 계신가요? 교육을 담당하는 HRD 업무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많이 떠오르지는 않죠. 주로 데이터 정리나 교육 독려 메시지 작성 등 부수적인 업무에 활용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렇다면 교육과정 설계에는 AI를 활용할 수 없을까요?
"조직 내부 상황에 대한 이해가 없는 AI에게 교육과정 구성을 맡기긴 어렵죠."
"교육 관련 데이터는 정성적인 것이 많아 AI 활용이 쉽지 않죠."
위와 같은 생각을 하셨다면, 아래 내용을 통해 똑똑하게 생성형 AI를 활용해보시길 바랍니다. |
|
|
ChatGPT에게 패스트캠퍼스 1~2년차 콘텐츠 마케터 대상 생성형 AI 교육과정 설계를 요청해보았습니다. 교육 시수, 대상, 기업명, 업무 등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자, 콘텐츠 마케팅용 AI 툴 소개, 사용법 안내, 실습으로 구성된 커리큘럼을 제안하기 시작했는데요. 틀린 것은 아니지만 내용이 다소 표면적이어서, 주니어 마케터가 실제 업무에 AI를 활용할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그럴듯해 보이지만 신뢰도가 떨어지는 답변인 셈이죠.
따라서 생성형 AI 답변의 신뢰도를 높이는 것이 AI를 활용한 교육과정 설계의 주요 과제일 텐데요. 이를 해결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신뢰도 높은 자료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
|
|
📌 이 자료 없이는 AI 활용 안하는 게 낫습니다 |
|
|
교육과정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패스트캠퍼스의 커리큘럼북을 참고 자료로 제시하자, ChatGPT의 답변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살펴볼까요?
교육 대상으로 설정한 패스트캠퍼스의 주니어 콘텐츠 마케터에게 자료를 제공하기 전후의 교육과정을 보여주고 의견을 묻자, 자료를 제공한 후의 교육과정을 선택하며 ‘이렇게 배우면 바로 활용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답하기도 했는데요. 다양한 커리큘럼 자료를 참고하여 구성한 내용이다 보니 실제 기업의 마케터 업무와 훨씬 더 연관성 있는 교육과정이 되었습니다. |
|
|
“이 과정은 패스트캠퍼스의 기존 AI 마케팅 교육 콘텐츠를 참고하여 구성했으며, 실무 적용 가능성을 극대화한 실습 중심의 커리큘럼입니다.”
|
|
|
ChatGPT가 커리큘럼 자료를 제공한 후에 답변한 과정에 대해 덧붙인 말입니다. 구독자님도 신뢰할 수 있는 자료를 함께 제공하여, 생성형 AI를 활용한 상반기 교육과정 설계에 도전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생성형 AI를 든든한 교육 담당자로 길러내실 수 있길 바라며, 그동안 진행했던 패스트캠퍼스 기업교육의 주제별 교육과정이 수록되어있는 커리큘럼북을 전달해드립니다. |
|
|
② AI시대, 구독자님의 리더는 준비되어 있습니까? |
|
|
“기업의 AI 활용도는 80%를 상회하게 될 것.”
- 미국 리서치 및 컨설팅 업체 Gartner Inc.
인공지능 대전환 시대, HR 부서는 직원들의 AI 활용 역량을 높이기 위한 체계를 점차 갖춰나가고 있습니다. 허나 직원들의 AI 활용 역량을 키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업의 전략을 결정하는 리더가 AI를 이해하지 못한다면 기업의 장기적인 경쟁력 확보는 어려울 텐데요. 이에 기업의 리더십에도 대대적인 변화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
|
|
📌 국내외 기업이 주목하는 AI 인재 양성 트렌드
이에 구글, MS와 같은 글로벌 기업들은 AI 기술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경영진을 육성하는 데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국내 기업들은 AI 인재 양성에 집중하면서도 정작 '경영자/리더'를 위한 AI 교육은 부족한 실정인데요. 실무자들이 아무리 우수한 AI 기술을 습득하더라도 리더급에서 이를 비즈니스에 적용하고 성장 전략으로 연결하는 역량이 없다면 사업의 성공은 요원합니다. 이에 국내 MBA TOP 서강대 경영대학원과 실무 교육 업계 1위 패스트캠퍼스가 함께 DX-AI mini MBA 과정을 선보입니다.
|
|
|
🤷🏻 당신은 인텔이 될 것인가요? 엔비디아가 될 것인가요?
리더의 선택이 기업의 미래를 좌우합니다. AI시대, 새로운 리더에게 필요한 리더십 최고위 과정을 시작해보는건 어떠실까요? |
|
|
🔥서강대 경영대학원 DX-AI miniMBA에서만 얻어가실 수 있어요
✔️ CEO/리더급을 위한 AI 비즈니스 최고위 교육, AI 기반의 경영 통찰력을 갖춘 인재 양성
✔️ 실리콘밸리 실무자 출강, 글로벌 경쟁력 확보
✔️ 다양한 업계 리더들과 연대하는 긴밀한 네트워킹 |
|
|
지난 레터에서 안내드렸던 것처럼, 비즈레터가 새로운 이름을 찾고 있습니다. 변화의 시작이 될 이름을 지어주세요! 아래 링크에서 아이디어 제출만 해도 네이버페이 포인트 5,000원을 증정해드리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
|
✉️ 오늘의 레터는 어떠셨나요?
앞으로 레터에서 다뤄줬으면 하는 주제나 콘텐츠에 대해
의견 남겨주시면 더 유익한 레터로 찾아뵙겠습니다. |
|
|
본 뉴스레터는 2025년 2월 12일 기준, 비즈레터 수신에 동의하신 분께 보내는 메일입니다.
패스트캠퍼스 기업 교육팀
b2b@day1company.co.kr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231 센터필드 6층 | 02-501-7429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