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스트캠퍼스 기업교육 로고
기업교육 문의하기

AI 교육

기업 교육 플랫폼

HRD레터

AI 잘 쓰는 직원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AI 교육의 답을 찾을 수 있을지도 몰라요.

“AI 교육 후에 적용하는 사람? 10%도 안돼요” 이번 레터에 등장하는 인터뷰이 중 한 분이 말씀하신 내용입니다. 그렇다면 왜 지금의 AI 교육은 업무 성과까지 이어지지 않는 걸까요? 효과적인 AI 교육을 위해 직무별로 어떤 점이 필요한지, 직무별 6인의 솔직한 인터뷰로 확인해보세요.

📌 4월의 비즈레터 30초 요약

👉 경영지원, 생산 관리, 마케팅 직군의 AI 실무 활용법, 알고 계세요?

👉 같은 팀이어도 직급별로 유용한  AI 활용 방법이 다르다
👉 AI 교육에 꼭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직무/산업별 ‘일하는 방식’이다

✔️ 제조업 생산 관리 C님: “앞으로는 AI 활용해서 데이터 통합하지 않을까요?”

- 주로 사용하는 AI: GPT
- 사용 방법: 품질 관리 보고서 작성
- 특징: 현재는 활용 초기 단계지만, 앞으로 활용 범위 확장 기대

생산 관리 직무의 핵심은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관리입니다. 작업 공정, 품질 관리, 생산성 향상을 위해 MES, SAP 등 다양한 시스템을 사용하는데요, 문제는 이 데이터들이 각각 흩어져 있고, 아직도 수기로 관리되는 부분도 많다는 점이죠. 

C님은 최근 GPT를 활용해 품질 문제 보고서를 작성하는 데 도움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수기로 작성된 문서들을 정리하는 데 걸리던 시간이 크게 줄었다고 해요. 아직 팀 전체가 본격적으로 AI를 활용하는 단계는 아니지만, 데이터 통합 관리, 시각화 등의 기능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생산관리 직무에서의 AI 교육은 단순한 'AI 툴이나 활용법 소개'를 넘어, 실제로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분석하고, 어떤 방식으로 품질 개선과 연결되는지를 중심으로 커리큘럼이 설계되어야 업무에 맞는 실질적인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 교육업 마케팅 D님: “같은 팀에서도 직급별로 AI 활용법이 달라요.”

- 주로 사용하는 AI: GPT, Perplexity, Claude
- 사용 방법: 콘텐츠 초안 작성, 카피 검수, 고객 데이터 인사이트 도출
- 특징: 같은 팀 내에서도 직급별로 활용 방법 상이

마케팅 직무는 콘텐츠 제작부터 성과 분석까지 업무의 폭이 넓습니다. D님은 AI 활용 방식이 직급에 따라 자연스럽게 달라지는 것 같다고 말했는데요. 사원-대리급에서는 콘텐츠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내용을 검토할 때 AI를 많이 사용한다고 합니다. “서론-본론-결론 구조로 1,000자 내외 글을 써줘.” 라는 식으로 초안을 받고, 이후에 다듬는 방식이죠.

반면 팀장급 이상에서는 AI를 데이터 기반 인사이트 도출 도구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월별 성과 데이터를 보여주고 “의미 있는 변화가 있었는지”, “전략적으로 어떤 시도를 해볼 수 있을지”를 묻는 방식으로요. 다만 D님은 AI에 대한 경계심도 놓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D님은 마케팅 직군의 AI 활용이 ‘콘텐츠 도구’로 끝나기보다는, 콘텐츠 기획–데이터 해석–소통 전략까지 연결된 실무 흐름 속에서 AI를 어떻게 활용할지를 함께 고민하는 방식이어야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덧붙이기도 했습니다.

✔️ 제조업 경영지원 A님: “어떤 자료든 우리 회사에 맞게 금방 수정해줘요.”

- 주로 사용하는 AI: ChatGPT, Claude
- 사용 방법: 사내 포스터, 보안 교육 장표, 임직원 대상 커뮤니케이션 콘텐츠 제작
- 특징: 실무 커뮤니케이션 효율을 높이는 데 AI를 활용

경영지원 직군의 업무는 다양하고 유동적입니다. A님은 산업 안전 관련 캠페인이나 보안 교육, 전사 레터 등, 사내 임직원을 대상으로 한 커뮤니케이션 업무에서 생성형 AI를 꾸준히 활용하고 있어요. 예를 들어, GPT나 Claude로 안전 수칙 포스터를 만들거나 보안 교육 자료를 제작하죠.

콘텐츠의 색상 톤이나 스타일을 사내 브랜드 이미지에 맞게 수정하는 팁도 AI에게 자주 묻는다고 해요. 일방적인 정보 전달이 아닌, 더 읽히는 방식을 고민할 때 AI가 좋은 파트너가 된다고요.
경영지원 직군은 문서, 안내문, 공지 등 ‘모두에게 전달해야 하는 메시지’를 자주 다루는 부서입니다. 따라서 AI 교육도, 커뮤니케이션 맥락에 맞는 실습 중심으로 설계될 필요가 있겠죠.

이렇게 직무와 직급, 일의 성격에 따라 AI를 활용하는 방식은 정말 다르죠. 그래서 AI 교육은 직무별 업무 과정에서 AI를 어디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안내하고, 그리고 효과적으로 AI를 사용하기 위해 개발이 필요한 역량까지 함께 다뤄야 합니다.

구독자님은 지금, AI를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넘어서, AI가 준 답을 어떻게 내 업무에 연결할지까지 포함하여 진행하고 계신가요? 생성형 AI 활용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직무 / 직급 / 산업 맞춤형 AI 교육과정을 확인하세요.

본 뉴스레터는 2025년 4월 9일 기준,
비즈레터 수신에 동의하신 분께 보내는 메일입니다.

패스트캠퍼스 기업 교육팀
b2b@day1company.co.kr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231 센터필드 6층 | 02-501-7429